[8querySelector를 활용한 데이터 참조]

1.input 박스를 활용해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날짜 데이터 수집하기

- input 박스 내 idclass 값을 지정해준다. (*id 속성값은 중복될 수 없다)

- 자바스크립트 본문 내 변수 선언 > querySelector 메서드 활용 id값 반환 및 value값 표기

(*querySelector 메서드 : html > body 태그 내 특정 id값을 가져올 때 사용하는 기능)

- 끝으로 console.log 활용 각각 수집한 데이터를 콘솔창에 표현한다.

 

'훈훈한 자바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1강 함수 선언의 종류  (0) 2023.01.13
9강 날짜를 생성하는 new Date  (0) 2023.01.13
7강 함수  (0) 2023.01.07
6강 객체  (0) 2023.01.06
5강 배열  (0) 2023.01.05

[7강 함수]

1.함수의 정의 :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계산을 수행하는 코드의 집합

2.함수 사용 :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, 함수 선언 종류

(*vs Code > 설정 > emmet 검색 > Trigger Expansion On Tab 설정 활성화!)

3.HTML 문서 개념 설명 :

4.함수의 형태 :

const sum = function( ) {

           console.log(10 + 10);

}

- 함수를 호출하면, 함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 (ex. sum ( ) )

'훈훈한 자바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9강 날짜를 생성하는 new Date  (0) 2023.01.13
8강 querySelector를 활용한 데이터 참조  (0) 2023.01.09
6강 객체  (0) 2023.01.06
5강 배열  (0) 2023.01.05
4강 String, Number  (0) 2023.01.05

[6강 객체]

1.객체의 정의 : 데이터를 배열과 같이 묶음으로 관리하지만, 순서가 아니라 하나의 데이터에 상세항목들을 각 카테고리별로 관리해주는 데이터 타입 (*여러 개의 Property를 갖는 데이터 타입)

2.객체의 형태 : 객체는 keyvalue라는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, 항상 쌍으로 같이 다닌다.

(ex. {name : ‘Jason’} ) > keyvalue는 콜론으로 구분된다. 또한 각각의 Property는 콤마로 나눠짐.

3.객체를 정의하는 방법 : 중괄호를 적어주고, 각각의 Property를 담아주는 형태

4.객체에 접근하는 방법 :

- Dot notation (*점을 사용하여 접근하는 방법) > (ex. userData.name -> “Jason”)

- Bracket notation (*대괄화를 사용하여 접근하는 방법) > (ex. userData[“name”] -> “Jason”)

4.객체 메서드 종류 : Object.keys( ) / Object.values( ) > 반드시 대문자 O로 시작해야 한다.

- Object.keys( ) : 주어진 객체의 key만을 가져와 배열에 담아주는 Method

- Object.values( ) : 주어진 객체의 value만을 가져와 배열에 담아주는 Method

'훈훈한 자바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8강 querySelector를 활용한 데이터 참조  (0) 2023.01.09
7강 함수  (0) 2023.01.07
5강 배열  (0) 2023.01.05
4강 String, Number  (0) 2023.01.05
3강 변수 선언 키워드  (0) 2023.01.05

+ Recent posts